곽상원 개인전: 파편들로부터 From Fragments

_

kakaotalk_20190527_151106120.jpg

파편들로부터 From Fragments

2019.06.26-07.30

 

우연과 필연 사이, 무수한 삶의 파편들로부터

김 현(아트스페이스 휴 큐레이터)

 

 

짧은 시간 그는 나무 그늘에 서서 이 문제에 대해 고민했다. 가져갈 것인가. 오늘의 기억으로 남겨 둘 것인가. 하던 차에 어디선가 소리도 없이 나타난 새는 무심히 소나무 위를 비행하다 적당히 자신이 한 숨 돌리기에 타당해 보이는 가지에 앉았다. 새는 성인이 우두커니 서있는 모습이 이질적으로 느껴졌는지 그를 구경하기 시작했다. 그 모습 또한 흔히 말하는 그림속의 한 장면스러웠는데 K가 머릿속에 구상은 했지만 도통 분위기 자체가 떠오르지 않아 망설였던 캔버스의 화면 구도 같았다. (작가 수필 「새와 깃발」 중 일부)

 

#새와 깃발

곽상원의 최근 목탄 드로잉 작업은 순서가 뒤섞인 영화 필름처럼 비연속적으로 연결되어있다. 내용은 더 단순하고 명확해졌으며 표현은 더 거칠고 과감해졌다. 장르로 보자면, 잔혹한 느와르 영화에 가깝다. 각각의 장면들은 시간과 공간을 교차하며 단편적인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작가의 수필은 이러한 이야기 사이의 빈 공간을 연결하며 작품을 독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등장인물 K는 산에서 우연히 발견한 깃발을 가지고 내려올지 말지를 고민하고, 그 사이 새는 그 상황을 조용히 관망하고 있다. 결국 K는 깃발을 가지고 내려오기로 결정하지만 산을 다 내려왔을 무렵, 깃대에 꽂힌 깃발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빈 깃대만 남았음을 알게 된다. 짧은 수필의 한 장면은 사소한 일에 고민하고 망설이는 K의 섬세한 심리 묘사와 새의 단순하고 명쾌한 움직임을 대비시키고 있는데 이는 그의 작업에서 복잡하고 거친 필치, 시점의 이동과 변화 등으로 나타난다. 무엇인가가 합당한 이유로 있었다. 라기보다는 다가오기에 담아 둔 것 뿐 이라는 안일한 생각을 하기도 한다는 작가의 말처럼 우연과 필연 사이에 존재하는 수많은 일상의 파편들이 조각조각 흩어져있다.

 

#불안

집단이나 사회에서 개인이 느끼는 고독과 불안의 정서는 곽상원 작업의 중요한 키워드로 오랜 시간 그를 수식했다. 곽상원의 초기 작업은 특정 집단에 속해있는 군집된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작가의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된 군대 시리즈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젊음과 힘을 과시하는 군인들의 과장된 제스처를 작가 특유의 표현주의적 기법으로 묘사한 작업은 도발적인 에너지가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지만 역설적이게도 오히려 텅 비어있는 인상을 주었다. 아마도 그것은 집단이 발휘하는 공허한 힘 뒤에 감춰진 개인의 불안을 암묵적으로 드러내는 작가의 냉소적인 시선이 때문일 것이다. 이후 그의 작업은 특정한 집단이나 인물을 직접적으로 지시하지 않고, 풍경 자체를 전면에 드러내거나 인물을 풍경의 일부로 제시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배회, 배회자로 명명되는 작업들이 이 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한적 색채와 절제된 표현,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는 듯한 표면 등 곽상원 특유의 음울한 풍경이 완성된다.

 

#, ,

곽상원의 작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물이나 불, 숲과 같은 불가항력적인 환경에 서서히 침잠되어 간다. 마땅히 거부하지도 완전히 동화되지도 않은 상태로 얼굴이 없는 신체는 화면을 부유한다. 바슐라르는 인간의 상상력은 물체가 아닌 물질적인 것으로부터 생겨난다고 보고 그 물질을 물, , 공기, 흙의 4가지 원소로 분류하였다. 4가지 원소는 죽음, 소멸, 생성, 생명과 같은 포괄적인 의미 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되는데 예를 들어 불은 소멸과 죽음의 이미지에 가깝지만 불꽃이 수직으로 타오르는 모습은 하늘을 향한 비상, 생명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가스통 바슐라르, 『불의 시학과 단편들』) 불의 상승하는 이미지는 곽상원의 작업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 중 하나인데, 그는 이전 작업 <불이 되어버린 사람>, <영원히 타오르는 재>에서 집단이나 사회의 외압을 불의 이미지로 시각화했다. 또한 주변에 동화되지 않고 자유롭게 비상하는 새의 모습은 하늘로 상승하는 불의 특성과 우연적인 연관성을 갖는다.

물은 불보다 여성적인 물질이면서 물은 항상 흐르며, 물은 항상 떨어지며, 그리고 항상 수평적인 죽음으로 끝난다.(가스통 바슐라르, 『물과 꿈』) 불과 마찬가지로 물과 숲의 이미지는 인간의 욕구나 의지를 억압하거나 붙잡아두려는 반대적 힘의 작용으로 읽힌다. 불과 숲이 수직으로 뻗은 상승하는 힘이라면, 물은 수평으로 흐르는 정적인 힘이다. 인물들은 숨 막히도록 빽빽하게 메워진 숲 안에서 혹은 주변을 맴도는 물 안에 갇혀 그 존재의 의무를 증명해내려 끊임없이 애쓴다.

 

바위 틈 사이에 겨우 피어난 풀 같이 존재의 미약함을 나타낸 이전 작업과 달리 근작에서는 인물의 밀도와 역할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보다 더 주목할 만 한 점은 두 명의 인물이나 사물이 한 화면에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는 개인의 고독이나 불안에 갇혀있던 고립된 상황에서 벗어나 관계를 통해 문제를 인식하려는 새로운 시도로 보인다. 익명화된 신체는 자신과 구분되는 타자이거나 하나의 자아에서 분열된 또 다른 자신의 모습으로도 볼 수 있는데 양쪽의 관점 모두 갈등의 대상이 외부로 향해있던 이전 작업과 달리 자신 내부에서 답을 찾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한 흔적을 보여준다. <이동하며 깨져 나가는 동물 조각>, <무던한 새>의 몸을 덮고 있는 얇은 시멘트는 시간이 지날수록 깨지고 부서져 전시장 여기저기에 흩어지게 된다. 작가의 의도대로라면 이 조각들은 전시가 끝날 무렵에는 완전히 파편화되어 본래의 형체를 찾을 수 없게 된다. 더 이상 견고하고 단단한 것으로 몸을 무장하고 지켜낼 필요가 없어졌다는 뜻일까. 어쩌면 겹겹이 쌓인 감정의 찌꺼기들도 일순간에 흩어지고 사라져버릴 무수한 삶의 파편들 중 하나일지도 모른다.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