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권 개인전 타인의 취향

경계인 또는 다큐멘터리 사진의 힘이 실재하는 걸까?

글. 김노암(전시 기획자)

김일권 작가의 주제는 작가 본인 말에 따르면 “경계인 -이쪽도 저쪽도 아닌 사람들”이다. 그들은 조선족, 무당(강신무), 개발에 따른 철거민 또는 이주민이다. 이번 개인전에는 “동강, 새만금, 태안, 제주 강정 마을 등은 개발과 발전, 인공이란 것들이 개인의 삶을 얼마나 파괴 시키고 무력하게 만드는지” 또는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발전, 개발, 인공이라는 이름으로 개인의 삶에 있어서의 역사적 축인 삶의 터전을 내어줄 수밖에 없는 모습 ”을 담은 사진으로 구성되었다. 그 사진 속에는 몇 마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황량하고 황망한 분위기, 갈등과 고뇌가 유기(遺棄)된 삶의 불모지(不毛地)를 기록하고 있다. 그것은 기록할 수 없는 것을 기록하려는 제스처일 수도 있다.

 

흄(D. Hume)은 말하길 절망은 환희와 거의 똑같은 효과를 갖는다고 한다. 그것은 욕망이 충족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자마자 욕망 자체가 사라지기(해소되기) 때문이란다. 욕망이 사라지니 결과적으로 욕망이 충족되어 사라지는 것과 유사한 효과라는 말인데, 참으로 교묘한 역설이다. 흄의 이 역설은 그 교묘함으로 인해 논리의 영역에서 취미의 영역으로 넘어온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욕망의 충족’과 ‘욕망의 충족된 것과 유사한 효과’는 다르다. 우리의 생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유희와 관념의 세계에서라면 모를까, 유사함과 동일함은 다르다. 그 존재론적 지위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시각이미지의 환영이 주는 효과는 그것이 미적이건 또는 미적이 아니건 현실(Reality)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또 그 거리만큼 환영은 제 힘을 발휘하고 현실의 타자로서 비평적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다. 현실은 현실이고 환영은 환영이다. 이 두 세계가 만나는 것은 언제나 가능하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관념과 유희의 차원에서이다.

 

이런 생각을 해보면 다큐멘터리 사진의 정의와 해석 또는 틀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김일권작가가 지향하는 세계이기 때문이다. 작가의 다큐멘터리 사진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강건한 신념 또는 결의는 동시에 수많은 전쟁과 문명의 비합리성과 야만성에 노출되었던 현대인의 냉소적 또는 회의적 정신으로 볼 때에는 참으로 소박하고 시대착오적으로도 보일 수 있다. 다큐멘터리와 저널리즘이 융합하고 변태하는 첨단미디어 정보사회에서 다큐멘터리의 원형적 힘에 기대는 것은 무모해보이기도 한 것이다.

 

이런 생각이 횡횡하는 현장에서 김일권 작가가 추구하는 다큐멘터리의 이념이나 미학이 성립가능하다면 그것은 어떤 방법, 형식, 실천으로 가능한지 흥미롭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아직 그의 일련의 경계인 시리즈가 목표로 설정한 분명한 내러티브를 구축하고 있는지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그것은 아마도 작가가 잡고 있는 ‘경계인’이라는 중심개념이 한국사회에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거나 아직 본격적으로 검토되지 않은 주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한국사회에서는 ‘경계인’이란 엄밀한 또는 보편적 동의를 받아낸 개념이라기보다는 하나의 ‘감정’이기 때문이다. 분단현실의 한국이 재독학자 송두율교수를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만났는지 떠올려볼 수 도 있다. 그것은 이율배반적인 가치나 모순 속에서 딜레마를 겪는 누구에게나 가능한 감정상태이다. 그런데 그것은 예술과 미학의 영역의 독자적인 고유성을 확보하는데 자주 인용되는 ‘애매모호함(Ambiguity)’을 떠올리기도 한다. 애매모호함은 앞서 흄의 그 교묘함의 다른 얼굴이다.

 

경계인이란 두 힘의 중력장에서 생존하고 지속하는 어떤 교묘함을 미덕으로 삼을 것이다. 그렇지 않겠는가? 사실 예술가가 본래 경계인의 자질을 타고 난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김일권작가의 타자와 배제(排除)에 대한 관심은 생득적이다. 경계인으로서 삶을 사는 작가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는 행위이다. 타자를 향한 시선은 본래 자기 자신에게 회귀하기 마련이다. 타자가 내 안에 있다 말은 이젠 아주 식상하지만 또 그러기에 보편적인 동의를 받는 것이 아닌가.

 

요컨대 그의 다큐멘터리는 작가로서의 삶과 생활인으로서의 삶 또는 기술과 예술 사이에서의 긴장과 이완의 기록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존 버거(J.P. Berger)의 말처럼 한 개인의 존재로 정렬되고 귀결되는 모든 사물과 현실과 이미지들이 리얼리티(Reality)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라면 고도자본주의사회에서 보다 물신화되고 냉소적으로 변한 우리도 다큐멘터리의 미학이 한 개인의 현실을 변화시키는 힘을 지닌 것을 부인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전시 기간: 2009. 11. 07(토) - 2009. 11. 27(금)

-opening : 2009. 11. 07 (토) PM 6:00 

 

People in the Borderline or the Power of Documentary Pictures, Do They Really Exist?


written by Noam kim 

The theme of Ilkwon Kim’s work is “people who stand on the boundary of things – people who don’t belong here or there (Kyungkaein),” according to the artist. By these people, he is referring to the Chosun people, the shamanistic priest (Kang shing mu), and people who have been subject to eviction due to impending urban projects. This solo exhibition features photographs showing, “Dongkang saemankum, Taean, Jeju Kangjung village, all subject to urban projects that destroy the lives of individuals making them powerless,” or the “helplessness of the individuals who cannot have a voice in protecting their own livelihood - one’s own shelter.” In the photographs, one can sense the indescribable despair and loss – the conflicts and agonies of these disregarded lives. This may be just a mere attempt to document the “undocumentable.”
 
D. Hume contended that despair and joy have the almost the same effect. He expounds that it is because once one realizes that one’s desire cannot be fulfilled, the desire itself disappears. It is a rather ironic statement where the effect of the vanishing of the desire itself is equivalent to the fulfillment of it. Hume establishes the equivalence of this logical way of thinking to that of the entertainment area through such an ironic statement.
However, the two things – the fulfillment of desire and the similar effect of the fulfillment of desire – are actually two separate things. Perhaps in the territory of entertainment where one’s survival is not an issue, the two concepts may be confused with one another, but equivalence and resemblance are different in their semantic nature. This is because their different existential status. Hence, the effect of an illusion by a visual image, be it an aesthetic one or not, definitely keeps a certain distance from reality. In addition, as much as it keeps a distance, it also wields its own power, conferring critical insight to those in reality. Reality is reality and illusion is illusion. It is possible for these two worlds to coincide. However, this possibility has a condition – it is only possible on a conceptual level and when it concerns the realms of entertainment and play.
 These thoughts lead one to think over the definition and interpretation of documentary photographs. This is the world Kim wants. The conviction of the artist that his documentary photographs can make a difference in the world may seem naïve when one looks back at the history of mankind filled with countless wars and the irrationality of civilization. Any modern person would be rather cynical about it.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era where documentary and journalism fuse with one another and develop into new forms, the expectation that documentary photography can wield its original power may seem rather vain.
 
If is it still possible to establish an ideology or an aesthetical quality in Kim’s work while having these thoughts in mind, the idea of whether one can walk the walk also becomes an intriguing subject. However, one needs more time to conclude whether Kim is trying to construct a clear narrative with these people on the fringe (Kyungkaein) as his subject.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central concept, Kyungkaein, is still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ts meaning in Korean society. In Korean society, the word Kyungkaein is not a word approved by consensus, but rather is a manifestation of a certain feeling, a certain sentiment. The reality of a divided nation can make one picture how Duyul Song, a scholar, sees things. This is an obvious sentimental state to anyone who has been subject to the antinomy and contradiction of values. This also reminds one of a word frequently referred to in art and aesthetics – the word ‘ambiguity’. Ambiguity is yet another face of clever irony inferred by Hume.
  Kyungkaein probably takes living in the field of two gravitational forces as a kind of virtue. Is it not so? Considering the fact that artists in general are born with such a quality (pertaining to Kyungkaein), Kim’s interest in the subject matter is almost something he is born with. It is an act of confirming one’s self-portrait living as a Kyungkaein. The way one looks and perceives others is bound to reflect how one sees oneself. The saying, ‘there is a stranger inside oneself,’ may sound like a cliché, but is it also universally accepted.
  

Kim’s documentary work can be viewed as a kind of exercise in relaxation and tension between art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life of an artist and one belonging to the secular world. This is because, as J. P. Berger once stated, reality is composed of things and images that end up defining an individual. In such a context,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the aesthetic of documentary work can bring changes to an individual’s life in the world of capitalism where materialism and blatant cynicism run amok.

-Exhibition: 2009. 11. 07(sat) - 2009. 11. 27(fri)

-opening : 2009. 11. 07 (sat) PM 6:00   

Post a Comment
*Required
*Required (Never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