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OURS-그리고 만나다: 윤석남, 전하영, 이미정

24.JPG

자매애는 힘이 세다[1]

 

영화 <디아워스>는 버지니아 울프와 그의 소설 <댈러웨이 부인>과 관계된 두 여성이 서로 다른 시간과 공간을 살아가는 하룻동안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1923, 버지니아 울프는 극심한 우울증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댈러웨이 부인>을 쓴다. 1951, 로라 브라운은 벗어날 수 없는 결혼생활의 유일한 안식을 <댈러웨이 부인>에서 찾는다. 버지니아 울프는 소설 속 댈러웨이 부인 대신 스스로 강물에 뛰어듦으로써 죽음 같은 현실에서 벗어났고 로라 브라운은 죽음 대신 두 아이와 남편을 떠남으로써 비정한 을 선택했다. 하나의 소설을 두고 두 등장인물의 삶이 빗겨나가고 흩어진 시간들이 연결된다.

이른바 페미니즘 미술 1세대인 윤석남과 1980년대 생인 전하영, 이미정은 50년 가까운 시간의 간극이 존재한다. 초기 페미니즘은 가부장적 담론과 관습으로부터 여성의 권리, 주체성, 표현의 자유 등 기본적인 권리를 획득하고자 했기 때문에 반남성주의적 경향이 짙었다. 이러한 페미니즘은 출발과 동시에 당대의 과제를 해결해가면서 반세기가 지나버렸다. 이번 전시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그러나 시대적 분위기와 정서를 서로 다르게 경험한 세 명의 여성작가의 시간들을 연결하고 여전히 진행중인 페미니즘 미술의 현재를 살펴보고자 한다

윤석남은 마흔이 넘어 불현듯 그림을 시작했다. 화실에서 꽃과 정물을 그리는 대신 어머니를 작업실로 모셔와 그를 모델로 그림을 그렸다. 가장 익숙하고 또 그리고 싶은 존재였다. 어머니를 그리며 그의 희생과 이타심을 이해하는 과정은 시대를 앞서간 역사적 여성과의 소통을 시도하는 것으로 확장되고 인간의 이기심으로 훼손된 자연(동물)에 대한 관심에 이른다. 컨테이너에 살며 천 마리가 넘는 유기견을 돌보는 이애신 할머니의 삶을 접한 그는 나무를 깎고 다듬어 1,025마리의 유기견을 재현했다. 인간의 변심으로 버려진 생명을 향한 무겁고도 기나긴 화해의 과정이었다. 3년간 수없이 나무를 들었다 옮긴 탓에 허리 수술을 받게 되었고 이제서야 철든 몸이 되었다고 작가는 겸손한 농담을 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2001년 무렵 전시를 위한 작업을 중단하고 스스로 휴식기를 갖던 시기 일기를 쓰듯 그린 드로잉을 선보였다. 드로잉 속 작가의 모습은 땅에 내려오지도 못한 그렇다고 완전히 올라서 있지도 않은 불안정한 모습이다. ‘누가 나에게 예술가는 누구인가 라고 묻는다면 나는 지상으로부터 20cm 정도 떠 있을 수 있는 사람이라고 대답하고 싶다. 너무 높으면 자세히 볼 수 없고 현실 속에 파묻히면 좁게 볼 수밖에 없다.’ 그네에서 춤을 추듯 살고 있다는 작가의 말처럼, 어머니의 딸에서 딸의 어머니로 살아온 70여 년간의 시간이 남긴 선물과도 같은 통찰력으로 일상을 관조하며 따뜻한 시선으로 내려다본다.

전하영은 영화는 접을 수 있고, 휘어질 수 있으며, 통과할 수도 있는, 부드러운 스크린이다.’ 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여 영화와 설치 미술의 경계를 교차하는 작업을 선보였다. 3채널 영상 작품 <세계의 틈과 폐기된 엔딩> <박제된 공주>와 편집된 영상 그리고 장소 헌팅 영상 등 하나의 사건을 둘러싼 세 가지 층위의 영상이 즉각적으로 관계를 주고 받는다. 즉 개봉을 위한 영화와는 별개로 감독의 의도를 충실하게 반영하는 디렉터스컷와 영화를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관객에게 보다 개방된 형태의 관람 방식을 제시하고 있는 셈이다. 영화는 2005년 수십 명의 여성을 성폭행한 실제 빨간모자 사건을 모티브로 여전히 성범죄에 무기력하게 노출되어있는 여성의 불안을 현실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영상과 함께 전시된 설치 작품- 여성의 잘려진 신체 일부-은 본래 영화 결말에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나,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영화에는 등장하지 않고 하나의 독립된 오브제로 기능하며 장르간 교차를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저 소리 부분을 지워 버릴 것입니다>는 전하영이 연출한 영상과 윤석남의 목소리가 오버랩 된 신작으로 2013년 윤석남의 너와(shake) 시리즈 작품과 동명이다. 영상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벽에 투사한 다음, 영상을 다시 촬영하는 과정을 수 차례 반복한다. 또렷하던 이미지가 의도적으로 뭉개지고 선명하던 목소리가 점점 멀어진다. 작가는 기술적으로 필터링하는 간단한 방법을 거부하고 영상이 천천히 변해가는 긴 시간을 고집스럽게 지켜보았다. 마치 윤석남이 1,025마리의 유기견을 나무로 깎고 어루만진 3년간의 시간처럼 말이다

이미정은 <자가 수상을 위한 단상>에 올라가 그 누구에 의한 상이 아닌 스스로를 위한 상을 내렸다. 그는 20, 여성, 작가로 살아가며 직면하는 현실적인 문제를 재치 있게 풀어낸다. 스스로를 칭찬하고 위로한다는 개념은 이미정이 지속적으로 다루었던 여성의 마스터베이션 행위와 닿아있다. 섹스 토이를 연상케 하는 일련의 작업들은 학교에서는 모범생, 집에서는 착한 딸로 성장한 작가의 억압된 무언가의 표출이다. 그러나 의아한 것은 그 무언가가 섹슈얼리티나 욕망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작가가 여성의 마스터베이션을 화제로 올린 것은 그것이 암묵적으로 금기시되거나 혹은 왜곡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회와 집단에서 기대하는 역할과 기준을 전복하고 대상과 대상과의 관계를 새롭게 재구성하는 이미정의 작업은 오히려 정치적으로 읽힌다. 연작은 머리, , 다리, 성기 등으로 신체가 분절되어있는 독립적이면서도 하나로 연결되는 작업이다. 손잡이를 돌리면 360로 회전하는 다리나 허들 모양의 ㄷ자 형태로 꺾인 가느다란 팔처럼 분절된 신체는 각각의 역할을 가지고 서로 다르게 작동한다. 작품의 완성도에 비하면 그 기능은 허무할 정도인데, 아마도 쓸모 있어야 한다는 것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려는 작가의 의도가 아닐까. 그간 억압된 성과 욕망을 다루는 여성 작가는 많았지만 대개 지나치게 표현주의적이거나 그로데스크한 방식으로 진행되어 오히려 또 다른 모습의 폭력처럼 보이기도 했다. 이미정은 게임이나 놀이를 하듯 성을 가볍고 유희적으로 다룬다. 섹시한 유희에 감춰진 날카로움은 소녀 감성 충만한 분홍색 섹스 토이의 반전이다. 

전시를 앞두고 세 작가가 처음 만난 날, 당시 막 개봉한 영화 <춘희막이>를 두고 윤작가는 작게 읊조렸다. “그게 여자니까 가능한 얘기야”. 아들을 낳기 위해 들인 작은집 할머니와 큰집 할머니가 백발이 다 되어 서로 자매처럼 의지하며 살아간다는 내용. 결코 쉽지 않은 이해와 용서가여자이기 때문에 가능해진 것일까. 자매애(sisterhood)의 힘을 강조한 미국의 여성운동가 벨 훅스는 페미니즘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가부장제의 속박으로부터 오히려 남성을 해방시켜줄 것이라고 말한다. 페미니즘은 여성과 남성을 막론하고 모든 성차별로부터 모든 사람을 자유롭게 하는 운동이다. 페미니즘을 향한 편견과 오해가 종식되고 더 다양하고 행복한 페미니즘 미술이 생겨나기를 기대해본다.
-아트스페이스 휴 큐레이터 김현



[1] 벨 훅스(2000), 행복한 페미니즘(Feminism is for everyone), 박정애 역, 백년글사랑, p.51

Post a Comment
*Required
*Required (Never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