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성 개인전 The Judgement Day

자동차들이 있는 음울하며 형이상학적인 풍경

글.김노암(전시기획자)

1. 문명의 역사를 되돌아 볼 때 의식에 생동하는 현대미술이 추구하는 미적 이념이나 활동은 본래부터 있어온 것을 시대에 맞추어 표현하는 보편적인 현상일까? 20세기를 전후로 확고하게 무엇보다 중요한 문화가 된 우리 시대의 이 독특한 현상은 영속적인 것인가? 그리고 만약 영속적이고 보편적인 것이 있다면 한 개인의 미적 취향과 실천은 어떤 것인가?

계몽주의와 함께 산업혁명과 종교개혁을 기둥으로 삼은 근대를 터로 삼아 욱일승천 세계를 휩쓸며 승승장구한 서구문화의 중심을 회전하며 현대미술이 번성하였다고들 말한다. 또 1, 2차 세계대전 이후 재편된 세계 질서와 문화의 꽃이 현대미술이라고 한다.

이러한 시선을 우리 자신에게 돌리면 일제 식민지를 지나 한국전쟁과 남북분단, 군사독재, 산업사회와 학력사회, 시민사회와 민주화 등 복잡과 혼란의 역사를 지나온 사회에서 현대미술은 또 어떤 의미이고 어떤 모습일까?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성장한 경제적 풍요와 소비, 첨단 멀티미디어의 유흥과 여가의 풍속을 사는 이들에게 19세기말 20세기 초 또는 전후세대에 전개된 현대미술과 우리의 삶과 의식에 자리한 현대미술은 분명 달라졌다. 여전히 사람들은 새롭고도 고유한 젊은 예술가들을 기대하고 초대하여 무언가 과거로부터 우리가 보다 좋은 혹은 보다 발전되었거나 다른 지점에 왔다는 점을 확인하고 싶어 한다. 그것이 문명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어떤 욕망이거나 비전일 수 있고, 또 그 한 표현이 현대미술이라는 현상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생각들 사이로 예술가들은 무언가는 단순히 의미와 비전의 의미심장함을 넘어 보다 초월적인 세계로 나아가려는 모습을 보게 된다.

2 많은 현대미술가들이 자동차를 자신의 예술적 비전을 담는 중요한 모티브로 삼아 작업 하는것과 비교할 때 한정성의 작업은 그들과 조금 다른 지점을 모색하려 한다. 그의 작업은 현대 문명의 이기(利器)이자 우리 경제의 큰 기둥인 자동차산업의 생산품, 자동차를 통해 한국 사회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적 인식을 서구 중심의 보편적인 세계사의 얼개에 맞추려는 것처럼 보인다. 한정성의 작업은 비록 작은 미니어처 자동차와 몇 가지 상황으로 연출된 것이나 사뭇 비장하며 우울한 풍경을 만들어 낸다. 젊은 미술가에게 흔히 발견하게 되고 또 발견하길 희망하는 어떤 경쾌함과 재기발랄함 그리고 가벼운 유머는 그에게는 먼 세계의 것이다. 작가에게 자동차는 더 이상 젊은이의 로망이나 첨단산업사회의 주역이 아니라 현대인의 정신적 몰락과 그 폐허를 상징하는 물건에 다름 아니다.

20세기 전쟁으로 세계가 불타고 있을 때 만들어진 많은 기계들, 그 가운데 독일에서 만들어진 아주 정교하고 튼튼한 자동차들. 그 자동차들은 세계의 문명을 붕괴시키고 사람들을 살육하는 도구로 개발되었고 또 사용되었다. 한정성은 자동차를 물질문명의 파국적 상징으로 사용하여 고도 자본주의사회와 군산(軍産)복합사회의 세속중의와 물질주의의 이면에 자리한 이기적 욕망과 파국적 위험을 경고한다. 이미 전쟁을 겪은 세대의 경험은 단지 기록이나 의사체험으로 전승되지만, 작가에게 그것은 여전히 현재진행중인 경험이다. 지금도 지구촌 어딘가는 전쟁과 살육이 수없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직접 겪지 않는 한 그 경험은 나의 경험이 되지 못한다. 그래서 한정성의 작업과 그 작업이 전하는 메시지에는 깊은 상처가 있으며, 그 상처에서는 여전히 붉은 체액이 흐르는 것 같다.

어디선가 돌진하여 벽을 뚫은 채 불타버린 자동차의 잔해, 아슬아슬한 현대 미술의 공간을 자동차로 위협하고 부숴버리는 것. 현대물질문명에 대한 냉소와 풍자와 함께 정신주의 또는 종교적 영성(靈性)을 고양하는 것. 한정성의 작업은 20세기 중반 유럽을 살아간 기리코의 음울한 형이상학적 풍경을 떠올리는 형이상학적 설치 또는 불길한 예감으로 잔뜩 긴장한 오브제들로 보인다.

-전시 기간: 2009. 09. 05(토) - 2009. 09. 25 (금)

-opening : 2009. 09. 05 (토) PM 6:00

The Gloomy and Metaphorical Scenery with Cars
 

 written by Noam kim 
 

  1.         When looking back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are the aesthetic principles and activities that the spirited contemporary art pursues a general phenomenon of expressing what has existed from the beginning into its time? Will this idiosyncratic phenomenon of our time that emerged arou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has become the most distinctive part of culture be lasting? If there exists something permanent and general, what will an individual’s aesthetic preference and practice be like?
           The contemporary art is said to thrive around the western culture that marched on triumphantly and swept the world based on its modernism founded on top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eformation along with the Illuminism. It is also said to be the flower of world order and culture reorganized after the first and the second World Wars.
           When looking at ourselves in this regard, what meanings does the contemporary Korean art have or what does it look like in the society that has gone through a tumultuous history such as Japanese colonization, Korean War, division of the country, military dictatorship, industrialized and diploma-oriented society, civil society and democratization. For those who live in today’s world of economic abundance and consumption, entertainment and leisure of cutting-edge multimedia that have grown incomparably larger than the past, the contemporary art has definitely changed from that of the end 19th century, the early 20th century, or the period around the world wars.  
           People still expect new and unique young artists and want to confirm that we are at a different stage, somewhat better or more advanced from the past. It can be a certain desire or vision that crosses the center of civilization or it is expressed as a phenomenon of contemporary art.
We can notice that the artists strive to go ahead of the profound vision and meanings between these ideas and enter the transcendental world.
 

 2         Whilst a number of contemporary artists take the car as their main motif to convey their artistic vision, Han Jeong Seong approaches i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His work seems to set the Korea’s distinctive history and its cultural awareness into the frame of world history, through the car that is a product of automobile industry, which heavily supports the Korean economy, as well as a convenience of contemporary civilization. The work by Han Jeong Seong uses small miniature cars and some kinds of situations and yet it induces the somewhat tragic and gloomy scenery. His work is nowhere near the cheerfulness, wit and frivolous humor that we normally find or expect to find in the works by young artists. To Han, the car is no longer a top item on the youngster’s wish list or a leader of the high tech industrial society. Instead, it is the very object that indicates mental collapse and ruin of the people today.
           Among the numerous mechanical devices invented during the 20th century wars when the whole world was burning down, Germany made the elaborate and solidly-built automobiles. The cars broke the human civilization down and they were developed and also used as a device of massive homicide. Using the car as a symbol of destructive material civilization, Han Jeong Seong alarms the selfish human desire and destructive danger that lies beneath secularism and materialism in the highly capitalized and weapon industrial society. Though the experiences of those who suffered wars are handed down in records or as a pseudo-experience, it is an ongoing incident to the artist. As a matter of fact, wars and manslaughter are still occurring somewhere in the world. However, unless you do experience it for real, it can never be your own experience. Therefore, the work by Han Jeong Seong and the message it carries bear a deep scar and it seems like the scar is still bleeding.
The wretched car being rushed from somewhere, stuck in the wall and still burning in fire. Threatening and breaking down the space of cutthroat contemporary art, using the cars. Raising spirituality or religious holiness along with the cynicism and sarcasm over the material civilization today. The work by Han Jeong Seong presents metaphorical installations and intense objects full of ominous premonitions that recall the gloomy metaphorical landscape by Giorgio de Chirico who lived a life in the mid 20th century Europe.
 

-Exbihition: 2009. 09. 05(sat) - 2009. 09. 25(fri)
-opening : 2009. 09. 05(sat) PM 6:00  
 
  

  

Post a Comment
*Required
*Required (Never published)